반응형
자기소개서, 사업제안서, 공문 등.. 여러 문서들을 작성할 때 글자 수를 1000자 내외 이런 식으로 제한을 두는 경우가 있습니다. 다 쓰고 난 다음 네이버 글자 수 체크 사이트에 들어가 전체 붙여 넣기 해서 확인하는 방법이 있지만, 상당히 번거롭습니다.
네이버나, 구글에서 글자 수 체크를 검색하지 않고 한글 문서 내에서 글자 수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 이 경우 여러 단계의 번거로움 없이 클릭 몇 번 만으로 편리하게 글자 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은 한글에서 작성 중인 글, 작성된 글 전체 글자 수, 선택된 곳만 글자 수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반응형
한글문서 글자 수 확인하는 방법
1. 글자 수를 확인 하고 싶은 문서를 열거나, 작성 중인 문서에서 상단에 파일 탭을 클릭 후 문서정보(I)를 클릭합니다.
2. 문서 정보가 뜨면 문서 통계를 클릭 하면 가운데 쪽에 글자 수, 낱말, 쪽, 표, 그림 등.. 여러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선택된 부분만 확인하고 싶으면 원하는 부분을 블록 한 후 위 방법대로 진행하시면 확인 현재 선택 영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마치며
이번 포스팅은 한글문서에서 공백 포함, 공백 제외 한 글자 수, 줄, 문단 등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해당 방법은 한글의 모든 버전에서 가능하며, 저는 한글 2020에서 진행하였습니다. 필요하신 분들께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. 감사합니다 : )
반응형
'컴퓨터에서 살아남기 > - 한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글에서 한글 이름 영어로 변경 하는 방법 (1) | 2023.04.28 |
---|---|
한글 파일, 한글 문서에 암호 설정 및 변경,해제 방법!(읽기, 쓰기) (2) | 2023.03.26 |
한글 사용 중 갑자기 일본어가 쳐질때 해결 방법 (7) | 2022.12.15 |
한글 업데이트 진행 하는 2가지 방법 (1) | 2022.12.02 |
한글에서 특정 부분 강조 하는 강조점 표시 하는 방법 (5) | 2022.12.01 |
댓글